사회초년생이 자주 하는 실수 중 하나는 어느 정도 투자금이 모일 때까지는 투자를 전혀 하지 않고 공부만 하려고 하는 것입니다. 효과적으로 돈 모으는 법에 대한 글에서 설명한 팁도 참고하시어 돈을 잘 모으고 계신다면, 희망하는 종잣돈을 다 모으기 전에 먼저 투자를 시작해야 합니다. 오늘은 왜 주식 투자를 일찍 시작해야 하는지 그 이유에 대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돈부터 모으는 것이 위험한 이유
목돈이 쌓일수록 소비에 대한 유혹 증가
"아직 투자 공부도 덜 했고, 돈부터 먼저 모으고 투자를 어떻게 할지는 나중에 생각해보자"라는 생각으로는 종잣돈을 모으기가 굉장히 어렵습니다. 내가 이 돈을 모아서 무엇을 할 것 인지 목표 설정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금액대별로 다가오는 소비의 유혹을 뿌리칠 동기부여가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100만 원 정도가 모이면 여행 가는데 보태고 싶고, 200만 원 정도가 모이면 최신 스마트폰을 사고 싶고, 500만 원 정도가 모이면 명품이 끌릴 수도 있습니다. 기껏 2000-3000만 원 모았는데 차에 질러버려서 다시 0에서 시작하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우리는 보통 어릴 때부터 소비만 하고 살아왔기 때문에, 돈이 모이면 일단 살 수 있는 것들이 생각나고, 기회만 되면 구매하고 싶어 집니다. 이 소비의 굴레에서 벗어나려면 인내심을 기르는 것이 아니라 투자를 시작해야 합니다. 모은 돈으로 소비가 아니라 투자를 하는 재미를 느끼면 소비를 하기 위해 저축을 하는 게 아니라 투자를 하기 위해 저축을 하기 시작합니다.
주식투자를 빨리 시작하면 좋은 점 3가지
1) 재테크 공부에 대한 동기부여
월급을 받기 시작하면 투자 공부도 좀 해서 돈을 불리는 상상을 하고 재테크 공부를 시작합니다. 하지만 당장 투자를 할 것이 아니고, 2-3년 뒤 종잣돈을 모은 후 투자를 할 계획으로 공부를 하면 1-2달은 열심히 할 수 있겠지만 돈을 다 모으는 2-3년 동안 꾸준히 투자 공부를 열심히 하기 힘듭니다.
뭐든 내 상황이 아니면 크게 공감하기 힘든 것처럼, 투자도 당장은 남 얘기일 뿐이라면 이론 공부만으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돈이 들어가고 주가가 왔다 갔다 하면, 모르면 큰일 날 수 있겠다는 생각에 억지로라도 공부를 더 하게 됩니다.
2) 값진 손실 경험
사회초년생에게 물어보면 생각보다 본인은 공격적인 성향의 투자를 희망한다고 얘기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계좌가 -40~50% 손실이 나면 생각보다 본인이 공격적인 투자를 원하는 성향이 아니라는 것을 깨달을 수도 있습니다. 핵심은 금액이 적을 때 손실도 경험해보며, 자신에게 적합한 포트폴리오 구성을 하는 감을 잡을 필요가 있습니다. 이런 연습을 해보지 않고 바로 1억 이상의 큰 금액을 모아 투자를 하면, 10-20% 손실만 나도 잠이 안 오고 2000만 원 손실만 확정 짓고 주식은 다시는 쳐다보지 않을 수 있습니다.
금액이 적을 때 다만 유의해야 할 점은 금액이 적다고 무모하게 올인해서 무지성 투자를 하고 나서 잃으면 그만이라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이런 마음가짐으로 투자를 하면 투자금을 금방 잃기 쉽고, 큰 금액을 투자할 때 전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100만 원을 1억이라 생각하고 잃지 않는 투자를 하기 위한 연습을 처음부터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복리의 마법
복리의 마법에 대해서는 정기예금에 올인하면 안 되는 이유를 설명한 글에서도 한번 강조한 바 있는데요. 복리의 효과를 최대한 얻기 위해서는 소액이라도 투자를 무조건 일찍 시작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부동산은 현실적으로 적은 금액으로 의미 있는 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부동산 투자에 대한 높은 지식을 요하는 반면, 주식은 100만 원만으로도 의미 있는 분산투자를 통해 안정적으로 복리의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워런 버핏도 10대부터 지금까지 꾸준히 투자를 했기 때문에 90이 넘은 지금 전 세계 10대 부호가 될 수 있었습니다. 우리가 워런 버핏이 될 수 있는 건 아니지만, 20대에 시작하면, 30대보다. 30대에 시작하면 40대의 나보다 부자가 될 확률은 확실히 더 높습니다.
결론
- 종잣돈을 다 모으기 전부터 주식 투자를 시작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예적금에 돈을 모으기만 하면, 소비의 유혹에 빠지기 쉽습니다
- 투자를 빨리 시작하면, 공부에 동기부여도 되고, 도움이 되는 투자 경험도 일찍 쌓을 수 있으며, 복리의 마법을 이용하여 부자가 될 확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주식 투자를 빨리한다고 삼성전자 주식이나 애플 주식에 몰빵하고 기도하는 방식의 투자는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초보자일수록 한 종목에 올인하기보다는 분산투자를 해야 합니다. 주식 초보자가 소액으로 분산투자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ETF를 활용하시는 것이 좋은데요. 다음 글에서는 ETF란 무엇인지, 왜 사회초년생이 투자를 빨리 시작하기에 ETF가 좋은지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주식 초보라면 제발 ETF 투자부터 하세요
ETF(Exchange Traded Fund/상장지수펀드)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유명한 투자자 워런 버핏은 자신이 죽는다면 아내에게 속하게 되는 자산을 수수료가 낮은 인덱스 펀드(ETF와 유사) 투자로 자금을 운영할
sisanam.tistory.com
'돈 이야기 > 재테크에 대한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기투자하기 좋은 ETF 고르는 법 3가지 (0) | 2022.10.31 |
---|---|
ETF 투자, 미국 ETF로 해야하는 이유 (0) | 2022.10.30 |
주식 초보라면 제발 ETF 투자부터 하세요 (0) | 2022.10.29 |
인플레이션에 대비하는 적정 노후자금 계산법 (0) | 2022.10.25 |
금리높은 정기예금에 올인하지 말고 이렇게 하세요 (0) | 2022.10.22 |
댓글